This is a cache of https://www.tam-tokyo.co.jp/english/blog_korean/20251104610/. It is a snapshot of the page at 2025-11-05T03:11:09.003+0900.
<strong>tam</strong> - Tokyo Automatic Machinery Works,Ltd.

Blog

한국어 블로그

 수직형자동포장기의 봉투 스타일에 대해서

November 04, 2025

최근 식품포장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충진, 포장됩니다. 이는 소비자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하고 최신의 트렌드를 반영하기 위해서 입니다.
예를 들어, 쌀은 5kg 또는 10kg 단위로 포장되는데, 이는 소비량을 기준으로 나눈 포장 입니다. 반면, 초콜릿이나 사탕류는 소포장 또는 개별 포장됩니다. 스낵류는 판매점에 따라 소형만 판매하거나 대형만 판매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제품이 서로 다른 수요에 맞춰 판매될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입니다.

포장 기계도 요구되는 봉지 형태에 따라 다양한 타입이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포장에 필요한 기계인지 충분히 검토하고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일반적인 포장 스타일과 도쿄자동기계제작소의 적합한 기계 타입을 설명합니다.

필로우 봉투

필로우 백은 필름 롤에서 성형 장치를 이용해 생산되는 봉지로, 완성 포장의 모양이 베개(Pillow)와 유사해 이름이 붙었습니다.
필로우 백을 생산하는 포장 기계는 대표적으로 가로형자동포장기와 수직형자동포장기가 있으며, 이는 제품이 공급되고 포장되는 방향이 가로인지 수직인지에 따른 구분입니다.

개별 조각 단위로 포장되는 사탕, 아이스크림, 초콜릿, 트레이 포장 제품은 HFFS(가로형자동포장기 Form-Fill-Seal) 기계를 사용합니다.
반면, 스낵, 절단 채소, 쌀, 냉동 쌀, 쌀 과자 등 무게 단위로 포장되는 제품은 VFFS(수직형자동포장기 Form-Fill-Seal) 기계를 사용합니다.

페키지 스타일

포장 스타일은 봉투의 개폐가 가능한지 여부나 진열 효과 등 소비자 또는 소매점의 요구에 따라 결정됩니다.

다음은 도쿄자동기계제작소가 전문으로 하는 수직형자동포장 스타일 소개입니다.

펀치홀, 유로 펀치홀

봉지를 진열대에 걸어 디스플에이 효과를 강조한 포장 스타일입니다.

수직형자동포장기로 연속 체인 봉지를 생산할 수 있으며, 소포장이나 애완동물 사료에 자주 사용됩니다.

스탠딩 스타일

스탠딩 백은 자립성 진열 효과가 있으며, 구매 후 가정에서도 보관이 용이합니다. 블록바텀 거셋은 필름롤을 이용한 수직형자동포장기로 생산하며, 스탠딩 파우치는 이미 만들어진 완성형 봉지(wrapper)로 생산됩니다.

쿼트로 팩(Quattro pack®)

삼각 피라미드형 봉지는 상하 실링을 번갈아 90도로 회전시켜 형성됩니다. 주로 소량 의 스낵 등에 사용됩니다.

오프셋 헴 씰 백

블록바텀 거셋 봉지의 후면 실링을 코너로 오프셋하면 봉지 후면에 실링이 없어집니다. 이를 통해 인쇄 공간이 넓어져 디스플레이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도쿄자동기계제작소의 특별한 포장 스타일

보다 편리성을 추구한 도쿄자동기계제작소만의 포장 방식을 소개해 드립니다.

지퍼 필로우 백, 와이드 탑 백

개폐 가능한 지퍼 테이프는 주로 기성백(pre-made bag)에 적용되어 왔지만, 수직형자동포장기에서도 필름롤 성형 과정 중에 지퍼 테이프를 자동 공급 부착하여 필로우백(pillow bag)을 성형할 수 있습니다.

수직형자동포장기로 지퍼백을 제작하면 필름 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최대 65봉지/분의 생산 속도로 생산 효율 또한 향상됩니다.

블록 바닥 거싯백(block-bottom gusset bag)도 지퍼봉지의 생산이 가능합니다. 다음 사진은 개봉부가 더 확장된 와이드 탑 백의 지퍼 적용 입니다(wide-top bag)입니다.

와이드 탑 백®은 독특한 포장 스타일로 도쿄자동기계제작소의 수직형자동포장기 에서만 제작 가능합니다. 개봉부가 일반 필로우백과 동일하게 넓게 열려 있어 내용물을 쉽게 떠내거나 꺼낼 수 있으며, 바닥은 사각형으로 되어 있어 자립이 가능합니다. 이 백 스타일은 코코아 등의 분말 음료와 같이 사용 편의성이 중요한 제품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필로우 백 밸브 장치

밸브는 얇은 원반형 부품으로, 커피 포장용입니다. VFFS 포장 과정에서 필름 특정 위치에 부착되며, 내부 압력 차이를 이용해 커피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방출합니다.
내부 밸브와 외부 밸브 두 가지 타입이 있으며, tam VFFS 기계는 모두 대응 가능합니다.

특수 실링 형식

특별한 개봉 형태를 만들기 위해, 제품에 따라 독특한 봉합 형식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른쪽에 보이는 사진은 저희가 실제로 VFFS 기계로 제작한 분말 조미료용 리필 봉투입니다. 좁은 개봉부는 내용물을 흘리지 않고 좁은 용기에 부을 수 있도록 적합하게 설계되었습니다.

tam VFFS 기계 소개

Model TWJB

TWJB

TWJB는 일본산 품질과 합리적 가격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표준 모델입니다.
필요한 기능은 모두 탑재하면서도 견고한 구조를 유지하며 비용을 줄였습니다. 고품질 모델로 최적의 가성비를 달성합니다.

포장 가능 스타일:

  • 필로우 백
  • 필로우 거셋 백
  • 블록바텀 거셋 백
  • 체인 백(헤더 유무)
  • 펀치홀
  • 유로 펀치홀

기계사양

  • 봉지 크기: 폭 50-220mm, 길이 50-300mm
  • 포장 속도: 최대 100봉지/분
  • 기계 크기: W1121 × D1939 × H1413 mm
  • 기계 무게: 약 620 kg

Model TWJC

TWJC

TWJC는 연속 모션 모델로, ‘Made in Japan’ 품질을 추구하며 고성능과 합리적 가격을 동시에 만족시킵니다.
서보 구동 실링 오프닝 메커니즘을 탑재하여 고속 운전에서도 안정적인 실링 강도를 제공합니다.

포장 가능 스타일

  • 필로우 백
  • 필로우 거셋 백
  • 블록바텀 거셋 백
  • 펀치홀
  • 유로 펀치홀

기계사양

  • 봉지 크기: 폭 80-250mm, 길이 80-300mm
  • 포장 속도: 최대 140봉지/분
  • 기계 크기: W1200 × D1955 × H1575 mm
  • 기계 무게: 약 700 kg

Model TWQ

TWQ는 삼각 피라미드형(Quattro pack), 필로우 백, 3면 실링 백 생산용 VFFS 기계입니다.
견고한 구조와 콤팩트한 크기를 특징으로 하며, 설치 공간이 크지 않아도 됩니다.

포장 가능 스타일

  • 필로우 백
  • 3면 실링 백
  • Quattro pack
  • 체인 백(헤더 없음)

기계사양

  • 봉지 크기: 폭 45-95mm, 길이45-130mm
  • 포장 속도: 최대 100봉지/분
  • 기계 크기: W985 × D1466 × H1350 mm
  • 기계 무게: 약 775 kg

Model TWN-Z

TWN-Z는 세로형 필로우 백 포장이 가능한 모델입니다.

포장 가능 스타일:

  • 필로우 백
  • 필로우 거셋 백
  • 블록바텀 거셋 백
  • 펀치홀
  • 유로 펀치홀
  • 와이드 탑 백®(지퍼 유무)

기계사양

  • 봉지 크기: 폭 80-250mm, 길이 100-410mm
  • 포장 속도: TWN-ZH 최대 65봉지/분 (봉지 폭 165mm 이하, 평면 지퍼백 기준)
  • TWN-Z 최대 50봉지/분 (봉지 폭 165mm 이하, 평면 지퍼백 기준)
  • 기계 크기: W2470 × D1850 × H1600 mm
  • 기계 무게: 약 1300 kg

위에서 소개한 포장 스타일은 제품 특성과 용도에 따라 선택해야 합니다. 지퍼 포장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위 글에서 다루었지만, 실제 생산 현장에서는 동일 기계에서 다른 포장 방식으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검토해야 할 사항이 많아 적절한 사양을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원하시는 포장 스타일을 구현하기 위해, 생산성 및 제품 설계 현실을 충분히 고려하시고 당사에 언제든지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쿄자동기계제작소는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의 요구와 조건에 가장 적합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도쿄자동기계제작소 문의: tam-overseas@tam-tokyo.co.jp

Inquiry for machine

International Division